반응형
생명을 지키는 단 5분의 행동, 지금부터 함께 배워보세요.
🔔 경보음을 들었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
화재 경보음이 울렸다면, 즉시 하던 일을 멈추고 대피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. 특히 대형 건물에서는 상황 파악에 몇 초라도 늦으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
- 주변 사람에게 상황을 알려 함께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.
- 비상 가방 또는 신발이 근처에 있다면 바로 챙기되, 시간이 지체되지 않도록 합니다.
- 재난 방송이 나오는 경우,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.
-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을 준비하고, 가장 가까운 출입구 위치를 머릿속에 떠올립니다.
“실제 화재에서는 경보음이 울려도 무시하고 있던 사람들이 많았습니다. 반응 속도가 생명을 좌우합니다.” – 소방 안전 교육 강사 박지훈
코엑스 식당 화재 발생 🔥
서울 코엑스 식당에서 화재…30여 분 만에 큰 불길 잡아
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. 오늘 언론 취재에 따르면 소방 당국은 오늘 오전 11시 6분 코엑스 내부 2층 식당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를 받고 화재 진압에 나섰습니다.
news.sbs.co.kr
🚫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 금지
화재 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면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 실제로 많은 사망사고가 엘리베이터 내부에 갇히거나 연기 유입으로 인한 질식 때문이었습니다.
- 엘리베이터는 화재 시 정전, 시스템 오류로 중간 층에 멈출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- 화염과 연기가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해 빠르게 퍼지기 때문에 내부는 밀폐 공간이 아닌 위험 구역입니다.
- 건물 구조에 따라 엘리베이터 통로 자체가 화염의 통로가 되기도 합니다.
- 항상 계단을 이용하여 탈출해야 하며, 특히 하강 중간에는 비상 출입구를 계속 확인하세요.
“소방청에 따르면 2023년 전국 화재 사고 중 7.2%는 엘리베이터 이용 중 사고로 이어졌습니다.”
🌫️ 연기가 보일 경우, 낮은 자세로 이동
화재에서 사망 원인의 60% 이상은 연기 흡입에 의한 질식입니다. 특히 유독가스는 위로 뜨기 때문에 낮은 자세가 생존을 좌우합니다.
-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입과 코를 막고 호흡합니다.
- 무릎을 꿇거나 기는 자세로 이동하여 지면 가까운 신선한 공기를 최대한 활용합니다.
- 가능하면 창문 또는 비상구 방향으로 향해 유도등을 따라 이동하세요.
💡 팁: 건물 내 스프링클러 작동 중이라면 바닥이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, 한 손은 벽을 짚고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🧭 비상구 찾는 요령과 탈출 경로 기억하기
평상시에 비상구 위치를 숙지해 두는 것은 화재 시 대피 성공률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 특히 대형 건물은 구조가 복잡하여 방향 감각을 잃기 쉽습니다.
- 건물 출입 시 비상구 안내도를 확인하고, 계단 위치를 머릿속에 기억해두세요.
- 출입문 근처, 복도 벽 등에 부착된 ‘초록색 비상구 표지’를 따라 이동하세요.
- 한 층만 익히지 말고, 자주 머무는 층 외에 다른 층의 탈출 경로도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.
- 복도에서 방향을 잃었을 경우, 유도등 바닥 표시선을 따라 침착하게 이동하세요.
“건물에서 탈출 시간은 평균 2~3분입니다. 미리 경로를 알고 있느냐 없느냐가 치명적인 차이를 만듭니다.” – 한국소방안전원
🔦 스마트폰 손전등 활용법
정전이나 연기 등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스마트폰 손전등 기능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. 단,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두어야 합니다.
- 대피 시 앞을 비추는 용도 외에도, 구조 요청 신호로 사용하세요. 반복 점멸은 구조 요청의 국제적 신호입니다.
- 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해 화면 밝기는 줄이고, 불필요한 앱은 종료합니다.
- 주변이 진동하거나 소음이 심한 경우, 빛 신호로 위치를 알리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- 연기 속에서는 빛이 퍼지기 때문에 가까운 바닥 쪽을 비추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.
✅ 꿀팁: 평소 스마트폰 단축 아이콘에 손전등을 추가해두면 비상 상황 시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📝 화재 발생 전 미리 알아둬야 할 대피 요령
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, 사전 준비만으로 생존 확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. 평소 대피 계획을 세워두는 습관은 가족과 동료의 생명까지 지킬 수 있는 중요한 대비책입니다.
- 건물에 입주하거나 출근했을 때 대피 경로와 비상구 위치를 체크해두세요.
- 화재 대피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, 실제 상황을 가정해 시뮬레이션을 반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-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소화기, 방독면, 휴대용 손전등 등을 눈에 띄는 곳에 배치하세요.
- 평소 고령자, 어린이,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경우, 개별 대피 플랜을 세워두는 것이 필수입니다.
- 비상 연락망, 대피 후 집결 지점 등 사후 안전 계획도 함께 마련해야 합니다.
🙋♀️ 자주 묻는 질문 (FAQ)
반응형